반응형

전체 글 110

[AWS] Developer Associate #6 S3

스토리지란스토리지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AWS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객체 스토리지(S3), 블록 스토리지(EBS), 파일 스토리지(EFS, Fsx)를 제공합니다.객체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객체(Object)라는 개별 단위로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문서, 이미지와 같은 실제 데이터와 객체에 대한 추가 정보인 메타 데이터로 구성됩니다. 객체 스토리지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에 가장 적합합니다.블록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개별 단위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고속 데이터 처리, 짧은 레이턴시를 제공하며 데이터에 빠르게 액세스해야하는 모든 서비스에 적합합니다.파일 스토리지는 파일 데이터에 대한 공유 액세스를 계층적 스토리지입니다..

[AWS] Developer Associate #5 ElastiCache

Cache와 Caching컴퓨터 과학에서 캐시(Cache)는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속 데이터 스토리지 계층입니다.캐싱(Caching)은 캐시 또는 임시 저장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보다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입니다.캐시와 캐싱의 주요 목적은 더 느린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성능을 높이는 것입니다.캐싱을 사용하면 이전에 검색하거나 계산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속도를 위해 용량을 절충하는 캐시는 일반적으로 전체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데이터의 일부분만 저장합니다.캐시는 OS, CDN, DNS,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캐시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빠르게 액..

[AWS] Developer Associate #4 컨테이너(ECR, ECS, EKS)

컨테이너란?컨테이너 이미지는 환경에 상관없이 실행되기 위해 실행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입니다.컨테이너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런타임(JVM, Node.js 등),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로 구성됩니다.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이미지의 인스턴스이며 종료 시 모든 데이터가 휘발됩니다.AWS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는 Registry로 ECR, 컨테이너를 스케줄링하고 관리하는 Orchestration 도구로 ECS와 EKS를 제공합니다.컨테이너 레지스트리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고 액세스하는데 사용됩니다.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는 컨테이너의 프로비저닝과 배포, 라이프 사이클을 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ECR(Elastic Container Registr..

[AWS] Developer Associate #3 Elastic Load Balancing(ELB)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이란?로드 밸런싱은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들에게 네트워크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입니다.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라고 합니다.로드 밸런싱을 통해 부하를 분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확장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습니다.로드 밸런서에 컴퓨팅 리소스를 추가 및 제거하여 수평적 확장할 수 있습니다.AWS는 로드 밸런싱 서비스로 ELB(Elastic Load Balancing)를 제공합니다.ELB(Elastic Load Balancing)란?ELB는 클라이언트에게 트래픽을 받아 등록된 대상(target)으로 전달합니다.ELB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단일 접점(single point of contact) 역할..

[AWS] Developer Associate #2 Relational DB(RDS, Aurora)

RDB(Relational Database)란?R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며 데이터를 테이블(Table)로 구성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테이블 간의 관계(Relation)을 정의하고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쿼리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RDB에서 테이블이란 데이터의 집합으로 각 테이블의 열(Column)은 데이터의 속성(Attribute)을 나타내고 테이블의 행(Row)는 데이터의 레코드(Record)를 나타냅니다.예를 들어 고객 정보 테이블에서 ‘이름, 나이, 주소’는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고 ‘홍길동, 26, 수원시’는 데이터의 레코드로 여러 가지 데이터 속성들의 값을 포함합니다.AWS의 대표적인 RDB 서비스로 Amazon RDS(Relati..

[K8S] Karpenter와 Cluster AutoScaler(CA)

쿠버네티스에서 Auto Scaling Auto Scaling은 부하와 요구 사항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적의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하는 프로세스입니다. EKS에서 Auto Scaling은 ‘Pod Auto Scaling’과 ‘Node Auto Scaling’ 2가지가 있습니다. Pod의 Auto Scaling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 pod의 수평적인 scaling(scale out/in)을 담당하는 컴포넌트 Vertical Pod Autoscaler(VPA) : pod의 수직적인 scaling(scale up/down)을 담당하는 컴포넌트 Node의 Auto Scaling Cluster AutoScaler(CA) : k8s 클러스터에서 노드를 s..

[AWS] Developer Associate #1 Elastic Beanstalk

Elastic Beanstalk이란?Elastic Beanstalk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개발자 중심의 서비스입니다.Elastic Beanstalk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환경(인프라)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도 AW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기만하면 Elastic Beanstalk에서 컴퓨팅 리소스를 준비하고, 로드밸런싱과 용량 확장(scaling),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모니터링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Beanstalk는 JAVA, Tomcat, Python, Go, Node.js, Ruby, PHP, Docker, .Net Core on Linux, .Net on Windows 등을 지원합니다.Beanstalk 자체는 무료이지만 ASG..

[Linux] 서비스란? 서비스 등록, 서비스 기동, 서비스 로그 보기

서비스(Service)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주로 시스템 부팅시에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서비스는 주로 systemd를 통해 관리가 되며, systemctl은 systemd를 통해 서비스를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서비스 등록하는 방법 서비스를 등록하려면 /etc/systemd/system 또는 /lib/systemd/system 디렉터리에 [서비스명].service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면 됩니다. 아래는 nginx를 서비스로 등록하는 예시입니다. # nginx.service [Unit] Description=Nginx service # After는 해당 서비스가 어떤 다른 서비스이 이후에 활성화 되어야 함을 지정합니다. # 서비스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경..

📂 System/Linux 2024.02.14

[자격증] Datadog APM and Distributed Tracing Fundamentals 후기

22년에 받은 데이터독 자격증 바우처 응시 기간이 만료가 23년 12월 31일까지여서 급하게 시험에 응시하고 후기를 남깁니다. 온라인으로 응시하였기에 시간 제약이 없어 퇴근 후 저녁 10시(한국시간)에 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 그러나 퇴근하고 시험을 본다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충분한 컨디션으로 시험을 응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험 플랫폼은 PSI로 온라인으로 시험입니다. PSI 온라인 시험은 독립된 공간에서 캠으로 응시자 주위를 스캔하여야 합니다. 문제를 소리 내 읽거나, 입을 가린다거나 하는 행동은 경고 후 시험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퇴근하고 시험을 보다보니 집중이 되지 않아, 집중하기 위해 문제를 소리 내 읽었더니 경고를 1회 받았습니다. 자격증 소개와 준비 방법 이번 응시한 시험은 APM a..

📂 자격증 2024.01.07

[AWS] EKS란? EKS의 장점과 단점, 비용구조

1. Kubernets를 사용하는 환경과 종류Kubernetes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2가지 → On-premise와 Cloud On-premise 환경에서 Kubenertes를 구축하는 방법공식 배포 버전의 쿠버네티스로 직접 구축 → 네이티브 쿠버네티스 또는 바닐라 쿠버네티스라고 합니다.VMware Tanzu, Redhat의 OpenShift 등의 솔루션으로 구축(참고)Amazon EKS Anywhere를 이용하여 EKS를 On-premise에 설치 할 수도 있습니다.Public Cloud 환경에서 Kubernetes를 사용하는 방법AWS의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Azure의 AKS(Azure Kubernetes Service)Google의 GKE(Google Kub..

📂 AWS 2023.11.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