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10

[AWS] EC2 Linux에 EBS 볼륨 추가

EBS 볼륨 추가 (available 상태)EBS 볼륨 연결 (in-use 상태)lsblk 로 EBS 연결 확인mkfs -t {파일시스템 종류} {장치명}mount {장치명} {mount-point}/etc/fstab에 마운트 정보 기록/etc/fstab에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부팅이 안될 수 있음/etc/fstab에 등록할때는 UUID를 이용해서 등록하는 것이 좋음장치명 /dev/xvdf는 변할 수가 있기 때문umount {mount-point}로 마운트 해제mount -a로 마운트 했을때 정상적으로 마운트가 된다면 /etc/fstab반영 완료참고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ebs-using-volumes.html

📂 AWS 2021.07.04

[AWS] VPC peering

VPC peering은 "프라이빗 IP주소를 사용하여 2개의 VPC를 1개의 동일한 네트워크처럼 묶어주는 네트워킹 연결"VPC peering의 모든 트래픽은 암호화 된 채로 AWS의 백본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달되고, 절대로 퍼블릭 인터넷을 통과하지 않습니다.이를 통해 보안성이 높아지고, 전송속도가 높아집니다.VPC peering은 게이트웨이나 VPN이 아니기 때문에 물리적 하드웨어에 의존되지 않고, 통신 또는 대역폭 병목에 대한 단일 지점 장애가 없습니다.다른 계정의 VPC, 다른 리전의 VPC도 피어링을 맺을 수 있으며, 피어링은 1:1 관계로 수행된다.동일한 CIDR 블록은 VPC peering 연결을 만들 수 없습니다.불가능한 경우 : VPC A(172.16.0.0/16) VPC B(172.16...

📂 AWS 2021.07.02

[Linux] df의 결과와 du의 결과가 차이나는 이유

업무 중 df 명령의 결과와 du의 명령의 결과가 다르다고 잃어버린 스토리지 용량을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문제가 되는 디렉터리를 확인해보니 df는 용량의 100%를 사용하고 있다고 나타내고, du는 사용량이 70% 정도라고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해보니 df와 du가 스토리지 용량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df는 슈퍼블록을 읽고, du는 각각의 파일들을 읽고 용량을 계산) 이러한 계산 방법의 차이(?)로 원본 파일이 삭제되었으나 여전히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경우 df의 결과와 du의 결과가 다를 수 있고,이를 해결 하는 방법은 그러한 프로세스를 kill 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원본 파일이 삭제되었으나 여전히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

📂 System/Linux 2021.06.28

Profile

자격증 CKA: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HashiCorp Certified: Terraform Associate (002) Datadog Certified: Log Management Fundamentals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정보보안기사 / 산업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처리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리눅스마스터 2급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교육이수사항 클라우드 융합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기반 기술 전문가 과정 / (사)한국융합기술진흥원 / 2017.12.29 ~ 2018.02.27 차세대보안리더양성프로그램 Best ..

📂 hyuckang 2021.06.13

[자료구조] 알고리즘의 정의

An algorithm is a finite set of instructions that, if followed, accomplishes a particular task. 알고리즘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한 작업(particular task)을 수행하는 유한한 명령어의 집합(a finite set of instructions)이다. Input(입력) : 외부에서 입력이 0개 이상이어야 한다. Output(출력) : 출력이 1개 이상이어야 한다. Definiteness(명확성) : 각각의 명령어는 명확(clear)하고 모호(unambiguous)하지 않아야한다. Finiteness(유한성) : 모든 경우에 알고리즘은 한정된 스텝 후에 종료됩니다. Effectivenes(유효성) : 모든 명령은 사람이 ..

📂 Data Structure 2021.06.02

[AWS] ELB(Elastic Load Balancing)

ELB란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싱(서버 부하분산) 서비스로드밸런서가 필요한 이유 →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로드밸런서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내결함성이 높아진다.로드 밸런서는 "클라이언트 에서 오는 트래픽을 허용"하고, 하나 이상의 가용 영역에서 "등록된 대상으로 요청을 라우팅" 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단일 접점 역할"을 한다.로드밸런서는 "등록된 대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정상 대상으로만 트래픽을 라우팅"한다."비정상 대상을 감지하면, 해당 대상으로 트래픽 라우팅을 중단"한다. 이후 대상이 "다시 정상으로 감지되면 트래픽을 해당 대상으로 다시 라우팅" 한다."리스너(Listener)는 프로토콜 및 포트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대상 그룹(Targ..

📂 AWS 2021.05.31

[AWS]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 IGW와 NAT 디바이스

퍼블릭 서브넷 내에 있는 인스턴스는 "퍼블릭 IP과 프라이빗 IP"를 가지고 있다.프라이빗 서브넷 내에 있는 인스턴스는 "프라이빗 IP"만을 가지고 있다.퍼블릭 서브넷 내에 인스턴스는 "IGW(Internet Gate Way)"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한다.프라이빗 서브넷 내에 있는 인스턴스는 "NAT디바이스(NAT인스턴스, NGW(NAT Gate Way))"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한다.트래픽이 IGW로 라우팅되면 퍼블릭 서브넷이고, IGW로 라우팅되지 않으면 프라이빗 서브넷이다.IGW는 "프라이빗 IP을 퍼블릭 IP or 탄력적 IP로 1:1 NAT"를 수행한다.NAT디바이스는 "프라이빗 IP와 포트를 NAT 디바이스의 IP의 IP와 포트로 변환하여 IGW로 트래픽을 전송"한다.추가적으로, "NAT디바이..

📂 AWS 2021.05.26

[백준] 1726 로봇 반례

https://www.acmicpc.net/problem/1726 1726번: 로봇 많은 공장에서 로봇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 월드 공장의 로봇은 바라보는 방향으로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움직이는 방향은 동, 서, 남, 북 가운데 하나이다.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명령어는 www.acmicpc.net -- INPUT -- 9 12 0 0 0 0 0 0 0 0 0 0 0 1 0 1 1 1 1 0 0 1 1 1 1 0 0 0 0 0 0 0 0 1 1 1 1 0 0 1 1 1 1 0 0 1 1 1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1 1 0 0 1 1 1 1 0 0 1 1 1 1 0 0 0 0 0 0 0 0 1 1 1 1 0 0 1 1 1 1 0 1 0 0 0 0 0 0 0 0 0 ..

[백준] 5427 불 반례

https://www.acmicpc.net/problem/5427 5427번: 불 상근이는 빈 공간과 벽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갇혀있다. 건물의 일부에는 불이 났고, 상근이는 출구를 향해 뛰고 있다. 매 초마다, 불은 동서남북 방향으로 인접한 빈 공간으로 퍼져나간다. 벽에 www.acmicpc.net -- INPUT -- 1 5 7 ...#* ..##. ##.#. #@... ##.#. ..##. ...#* -- OUTPUT -- IMPOSSIBLE -- INPUT -- 1 7 6 ###.### ###.### #.....# #.....# #..@..# ####### -- OUTPUT -- 5 -- INPUT -- 1 5 5 ..... ..... #*#.. #.@.# ###.. -- OUTPUT -- IMPO..

반응형